본문 바로가기
재테크

서울시 청년안심주택 제도 총정리(+신청 사이트 포함)

by 쮸베린 2025. 4. 22.

요즘 집 구하기 정말 쉽지 않죠
특히 사회초년생이나 취준생, 신혼부부라면 보증금, 월세 걱정이 하루 이틀이 아니에요
그런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제도가 바로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청년안심주택이에요

오늘은 이 청년안심주택이 어떤 제도인지, 누가 입주할 수 있는지, 어떻게 신청하는지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🙌


✅ 청년안심주택이란?

서울시가 2030년까지 총 12만 호 공급을 목표로 운영하는 공공임대 및 민간임대 지원 사업이에요
기존 '역세권 청년주택'에서 더 확장된 개념으로,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위해 추진되는 정책이에요


📍 어디에 있나요?

  • 지하철역 반경 350m 이내
  • 간선도로변 50m 이내

즉, 출퇴근이나 통학에 좋은 역세권 지역 위주로 공급된다는 장점이 있어요


🏘️ 어떤 집이 있나요?

  • 공공임대주택 (서울주택도시공사 SH 공급)
  •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(민간사업자 공급)

임대료는 시세보다 저렴하게 책정되는데요

  • 공공임대: 시세 대비 30~70% 수준
  • 민간임대 특별공급: 75% 이하
  • 민간임대 일반공급: 85% 이하

👤 누가 입주할 수 있나요?

청년형 (공공임대 기준)

  •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미혼 무주택자
  • 소득 기준에 따라 1~3순위로 나뉘며, 예를 들어 2순위는 본인과 부모의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, 총자산 3억 3,700만 원 이하, 자동차 가액 3,803만 원 이하 조건을 만족해야 해요

신혼부부형

  • 혼인 7년 이내, 예비 신혼부부, 한부모가족 등
  • 소득: 도시근로자 가구 평균소득 70% 이하 (부부합산 시 90% 이하)
  • 자산: 총자산 3억 3,700만 원 이하, 차량 가액 3,803만 원 이하

💰 임대보증금 지원까지?

입주할 집이 공공지원 민간임대일 경우, 보증금도 지원받을 수 있어요

  • 보증금 1억 초과: 30% 지원, 최대 청년 4,500만 원 / 신혼부부 6,000만 원
  • 보증금 1억 이하: 50% 지원, 최대 4,500만 원

임대차 계약 후 청년안심주택 종합지원센터 방문 신청으로 가능하니 놓치지 마세요

 


🧺 생활 편의시설도 GOOD

청년안심주택에는 다양한 공용시설도 함께 마련돼 있어요

  • 공유 주방
  • 북카페
  • 세탁실
  • 스마트 도어락 등 IoT 기반 시스템도 적용돼서 최신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주거 환경이에요

🤝 다른 청년 정책과 연계도 가능

  • 청년수당
  • 청년내일채움공제
  • 청년월세지원제도

패키지 연계도 가능하니까 관심 있다면 함께 확인해보는 것도 좋아요


⚠️ 주의할 점도 있어요

간혹 민간임대에서 보증금 반환 지연 문제가 생기기도 해서,
계약 전에 보증금 반환 보증보험 가입 여부 꼭 확인하세요


📌 신청은 어디서?

서울시 청년안심주택 공식 사이트
👉 https://soco.seoul.go.kr
여기서 공고 확인하고 모집 일정에 맞춰 신청하면 돼요


청년안심주택은 단순한 집이 아니라
청년의 내일을 위한 든든한 출발점이 될 수 있어요
내 조건에 맞는지 한번 확인해보세요 🧡